책소개
"수용자는 매스커뮤니케이션 과정 모델에서 수신자를 의미하는 집합적인 용어다. 지금까지 수용자 연구는 경험적 실증주의에 바탕한 전통적 방법과 80년대 들어서면서 본격적으로 나타난 대안적 방법으로 구분되었다. 두 연구는 현상을 바라보는 시각과 연구 방법론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다. 이제 두 연구 방법을 융합하려는 시도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책은 그러한 과정을 꼼꼼하게 검토하고 그 결과로 수용자에 대한 새로운 대안을 설명한다.
미디어 수용자 - 매스커뮤니케이션의 주권이 온다
이 책에서 저자 데니스 맥퀼은 수용자의 관점에서 '미디어 수용자'에 대한 개념을 일관성 있게 설명한다. 수용자의 주요한 형태, 수용자에 대한 대안적 이론, 수용자 연구에 대한 주요한 전통과 분야에 대해 친절하게 설명한다. 그는 사회과학과 인문과학의 가운데쯤에 위치한다. 그곳에 서서 뉴미디어 발달, 특히 다국적화와 새로운 쌍방향 기술에 대한 영향을 설명하고 급격하게 변하는 미디어 상황 속에서 수용자 개념은 어떻게 전개되는가를 고찰한다. 디지털 시대는 매스커뮤니케이션의 주권이 발신자로부터 수신자로 전환되는 시기다."
저자소개
"현재 네덜란드 Amsterdam대학 커뮤니케이션학과의 명예교수이자 영국 Southampton대학 객원교수다.첫번째 학위는 Oxford대학 역사학과에서, 그리고 박사학위는 Leeds대학에서 받았다. Ghent대학에서 명예박사를 받은 것을 비롯, Pennsylvania대학, Columbia대학, Harvard대학, Moscow대학, Tampere대학 등에서 객원교수로 재직했다. 그는 매스미디어와 관련된 가르침과 연구에 많은 시간을 보냈는데, 특히 선거 캠페인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 수용자 연구, 미디어 정책 및 매스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특별한 관심을 가졌다.
최근에 Media Performance(1992), Communication Models(Sven Wimdahl 공저, 개정판 1993), Mass Communication Theory 등을 펴냈으며, 초기 책들을 비롯하여 수많은 책들이 외국어로 번역되어 널리 교과서로 쓰이고 있다.
Denis McQuail은 Euromedia Research Group의 맴버이자 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의 편집인이기도 하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연구 Amsterdam School의 위원이며, 현재는 비교 미디어 정책과 미디어 책임에 관한 문제에 중점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목차
"역자서문
제1장. 수용자의 역사적 개념
1. 수용자 문제
2. 수용자 역사
3. 대중으로서 수용자
4. 집단으로서 수용자의 재발견
5. 시장으로서 수용자
6. 뉴미디어와 수용자 미래
7. 결어
제2장.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연구 속의 수용자
1. 비판적 시각
2. 수용자 연구 목적
3. 수용자 연구의 대안적 전통
3. 1. 수용자 측정의 구조적 전통
3. 2. 행동주의적 전통:미디어 효과 및 이용
3. 3. 문화 전통과 수용분석
4. 현안 문제점
4. 1. 사회문제로서 미디어 이용
4. 2. 대중 수용자와 사회적 독립개체
4. 3. 능동적, 수동적인 수용자 행동?
4. 4. 수용자의 대안적 인식
4. 5. 뉴미디어의 기술적 암시
5. 결어
제3장. 수용자 유형
1. 수용자 이중성
2. 집단 혹은 공중으로서 수용자
3. 수용자로서 충족 집단
4. 매체 수용자
5. 채널 혹은 내용에 따른 수용자
6. 대중 수용자의 붕괴:새로운 형태 출현
7. 수용자─송신자 관계의 대안적 모델
7. 1. 표적으로서 수용자
7. 2. 참여자로서 수용자
7. 3. 관객으로서 수용자
8. 결어
제4장. 미디어 도달 문제
1. ''객관적'' 수용자
2. 미디어간 도달의 다른 개념
3. 미디어 도달과 영향에 대한 일반적 견해
4. 중복 수용자:기능, 장소, 그리고 시간
4. 1. 수용자 도달의 공간 영역
4. 2. 수용자 도달의 시간 영역
5. 다양한 미디어 이용
6. 수용자 구성
7. 수용자 다양성:외적 대 내적인 형태
8. 수용자 평가:양적 대 질적
9. 능동성과 선택성
10. 다국적 수용자
11. 결어
제5장. 수용자 형성과 지속성 원리
1. 미디어 이용의 이유
2. 수용자 형성에 대한 구조적 접근
3. 기능주의적 모델:이용과 충족 접근
3. 1. 재발견된 이용과 충족
3. 2. 비평
3. 3. 기대─가치 이론
3. 4. 미디어 이용의 비기능주의적 대안
4. 수용자 선택의 ''실용적'' 모델
4. 1. ''수용자측'' 요인들
4. 2. ''미디어측'' 요인들
5. 취향, 선호 그리고 관심
6. 수용자 흐름
7. 결어
제6장. 수용자 실천:미디어의 사회적 이용
1. 미디어 이용과 일상생활
2. 미디어 이용의 잘못된 모델
3. 미디어 이용의 공적, 사적 영역
4. 하위문화와 수용자
5. 생활방식
6. 소수민족과 미디어 이용
7. 성별화된 수용자
8. 사교성과 미디어의 사회적 이용
9. 수용자 수용과 의미 협상
10. 사회적 병리현상으로서의 미디어 이용
11. 미디어 이용의 규범적 틀
12. 내용을 위한 규범
13. 결어
제7장. 커뮤니케이터와 수용자 관계
1. 격차 해소
2. 수용자에 대한 커뮤니케이터 시각
2. 1. 커뮤니케이터 세계로의 확장된 수용자
2. 2. 전문적인 준거 집단
2. 3. 목표에 대한 조직적 정의
2. 4. 생산물 이미지와 수용자 편견
2. 5. 수용자 참여의 조작
3. 수용자 견해
3. 1. 준 사회적 관계
3. 2. 사회적 환경과 동료 집단
3. 3. 미디어 팬덤
3. 4. 합리적 소비자로서 수용자
3. 5. 미디어의 규범적 결속
4. 수용자에 대한 책임 형태
5. 결어
제8장. 유동적 수용자
1. 수용자 종말?
2. 변화의 근원으로서 기술
3. 사회적, 경제적인 세력
4. 수용자 영향
5. 수용자에게 더 강한 세력을?
6. 미디어에게 약한 세력을?
7. 수용자 ''도피''
8. 분열화:다양성과 제한성
9. 국제화
10. 결어
제9장. 미래의 수용자 개념
1. 새로운 도전
2. 뉴미디어를 위한 새로운 수용자?
3. 수용자 생존
4. 개념적인 현안 문제
5. 수용자 형태와 용어들:맺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