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르네상스인 김승옥
- 저자
- 백문임,송은영,송태욱,이정숙,조성진,조현일,한영주
- 출판사
- 앨피
- 출판일
- 2005-12-08
- 등록일
- 2018-08-13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3MB
- 공급사
- 웅진OPMS
- 지원기기
-
PC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소설, 영화, 만화 등 다양한 분야의 젊은 연구자들이 작가 김승옥에게 바치는 헌정집이다. 1960~70년대에 대중예술 각 방면에서 전방위적인 활약을 펼친 '문화예술인'으로서의 김승옥을 조명한다. 2005년 5월에 진행된 인터뷰와 작가 연보, 작품 목록, 화보가 실려 있다.
백문임 교수는 '무진기행'으로 대표되는 김승옥의 소설 창작과 '영자의 전성시대' 같은 영화 시나리오 작업이 어떻게 일련의 연속선상에 있는지를 규명한다. 송태욱은 1960년대의 문화사를 재구하여 김승옥 소설의 독자층을 탐구하고, 이정숙의 글은 김승옥 소설의 문체가 새로운 시각성의 문화와 어떻게 결합했는지를 보여준다.
송은영은 1960년대와 70년대 대학생의 문화와 의식을 분석하여 김승옥 소설이 청년문화로서 각광을 받은 이유를 분석했다. 만화연구가 한영주는 1960년대 초 한국 언론계와 만화계 상황을 살펴 김승옥의 시사만화 '파고다 영감'이 탄생한 문화적 맥락을 짚고, 시사만화로서 '파고다 영감'이 지닌 강점과 약점을 분석했다.
조현일의 글은 김승옥이 직접 자신의 소설 '무진기행'을 각색한 영화 '안개'와, 역시 당대 최고의 소설을 바탕으로 영화화되어 걸작으로 남은 '오발탄'에 관해 쓴 것이다. 이 두영화가 가진 문화적 맥락을 소개하고, '몽타주' 기법을 중심으로 소설의 영화화 문제를 논했다."
저자소개
"한영주 : 만화평론가로서, 현재 '연구공간 수유+너머'에서 자유롭게 활동 중이다. 저서로 「다시 보는 우리 만화」가 있다.
이정숙 : 석사논문으로 <김승옥 소설의 소통양상 연구>를 쓴 뒤, 현재 서울대 국문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조성진 : 서울대 사범대 화학과를 졸업한 뒤, 인문대 국어국문학과에 편입하여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북경대 조선어과에서 한문 문학을 강의했고, 현재 서울대와 세종대에 출강 중이다. 논문으로 <시조의 담론 형식 연구>가 있다.
조현일 : 서울대 국문과에서 <손창섭, 장용학 소설의 허무주의적 미의식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홍익대 강사로 있으며 1960년대 자유주의 문학을 연구하고 있다. 논문으로 <임화 소설론 연구> <김수영의 모더니티관과 '파르티잔 리뷰'> <근대 속의 이야기 : 황순원론>이 있으며 저서로는 「한국문학의 근대성과 리얼리즘」「전후소설과 허무주의적 미의식」등이 있다.
백문임 : 연세대학교 국문학과 박사와 캘리포니아 어바인 대학(UC Irine)에서 박사후 연수를 거쳐, 현재 연세대학교 국문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줌 아웃 : 한국영화의 정치학」(2001)「춘향의 딸들 : 한국 여성의 반쪽짜리 계보학」(2001) 「형언 : 문학과 영화으 원근법」(2004)이 있고, 함께 옮긴 책으로 「카메라 폴리티카 : 현대 할리우드 영화의 정치학과 이데올로기」(1996)「모더니티와 시각의 헤게모니」(2004)가 있다.
송태욱 : 현재 연세대 강사이다. 연세대 국문과와 동대학원 박사과정을 졸업하고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6년 도쿄 외국어대학 연구원을 지냈다. 「김승옥과 '고백'의 문학」 등의 논문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탐구 1』(1998), 『형태의 탄생』(2001), 『윤리 21』(2001), 『근대 일본의 비평』(2002), 『현대 일본의 비평』(2002), 『포스트콜로니얼』(2002), 『일본정신의 기원』(2003), 『천천히 읽기를 권함』(2003) 등이 있다.
송은영 : 연세대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현재 연세대 강사로 있다. 평론으로 <지금 여기의 바깥을 상상하는 문학>이 있고, 논문으로 <김승옥 소설 연구>와 <대중문화 현상으로서의 최인호 소설 : 1970년대 청년문화/문학의 스타일과 소비풍족> 등이 있다. 현재 1960 ~ 1970년대 대중소비사회의 문화론과 문학을 연구하고 있다."
목차
"- 들어가는 글 : 아방가르드 혹은 현대의 르네상스인을 위하여
- 우정의 편지 : 승옥이는 반드시 다시 쓴다
- 연보 : 김승옥 2005년 가을
- 김승옥의 영화작품 목록
- 김승옥의 문학작푸 목록과 게재(연재) 지면
김승옥 소설의 독자를 찾아서 _ 송태욱
김승옥 신화를 지탱해온 '청춘 독자들'
김승옥의 60년대를 사랑한 70년대 독자
대학생 손에 들린 김승옥 소설집
영화의 폭발적 성장, 고급 독자층의 등장
일본 문학의 범람과 일본어를 모르는 독자
한글세대 작가들이 직면한 어둠과 빛
대학 문인지 동인에서 60년대 대표 작가로
''한국 현대문학사에서 유례가 없는 만장일치의 평가''
독자를 찾아서 '선데이 서울'로...
60년대의 감수성, 야행夜行을 만나다 _ 백문임 - 영화인 김승옥이 발견한 '70년대식'
이력에서 삭제된 ''10년 동안의 침묵''
'작가'에서 '구조-내-작가'로 변신
소통의 또 다른 방식, 영상언어
문예영화의 새 이름, '청년영화'
새로운 관객이 추동한 새로운 문제의식, 대중성
김승옥이 써낸 '여성 성장 멜로드라마'
'영자의 전성시대'가 불러낸 관객과 여성
사라진 창녀 혹은 누이
영화로 완성된 소설 '강변부인'
비현실적인 시대의 '현실적인' 통과법
소설가 김승옥의 뿌리가 된 1960년, '파고다 영감' _ 한영주
지워진 이력, 만화가 김승옥 혹은 김이구
신문만화의 출발점, '고바우 영감'과 '두꺼비'
1960년 잠시 찾아온 혁명의 봄
만화가 김이구의 '엉뚱한' 탄생
엄혹한 시대를 견뎌낸 '반바지 영감님'
김승옥이 발견한 서울의 '모던 시티 라이프'
소설가 김승옥의 출발점, 만화가 김이구
대중 속으로, 60년대가 사랑한 감수성 _ 이정숙
'감수성'이라 부를 만한 정서적 연대
소설과 영화, 김승옥 전성시대
문예적 감수성으로서의 서정성
김승옥식 유모어, 시니컬한 감수성
일상의 프리즘, 그 미디어적 감수성
취향으로 드러나는 개인, 서울, 대중
'선데이서울'과 김승옥의 리얼리즘
김승옥과 60년대 청년들의 초상 _ 송은영
낭만적 청년상의 대중화
실천적 청년세대의 대표 주자, '대학생'
대학생 세대의 대변자로 포장된 김승옥
화사한 감수성이 충족시킨 당대의 욕망
대학생을 통해 드러난 가난과 가족의 고통
'극기'와 '위악'의 진실
'대학생'에 투사된 1960년대 한국 사회의 욕망
꿈 줄이기과 '부끄러움'의 흔적
문학의 영화화, 영화의 문학화 - 몽타주 지향의 문예 영화 '안개'
영화와 소설의 생산적 접근을 위하여
60년대 문예영화와 '영화의 문학화'
장면 내 몽타주, 도시 공간의 병치 : '오발탄'
과거.현재의 병치, 운율 몽타주 : '안개'
'오발탄'과 '안개'의 미학적 의미
김승옥 앨범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김승옥 인터뷰 _ 조성진 - 살아서 써야 할 숱한 이야기들
김승옥, 다시, 말, 배우다
'조숙한 천재'를 일깨운 4 · 19 대혁명
김승옥과 김지하, 그 치명적 관계
아버지 없는, 장남, 가장, 김승옥
유년시절, 영화계에 대한 '안 좋은 기억'
''마음속에 소설이 있어''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