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세계사를 바꾼 16가지 꽃 이야기
- 저자
- 캐시어 바디
- 출판사
- 현대지성
- 출판일
- 2021-04-20
- 등록일
- 2021-07-30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19MB
- 공급사
- 웅진OPMS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사랑, 죽음, 패션, 날씨, 예술, 정치, 역사, 미술, 혁명…
꽃을 주제로 대화하는 가장 우아한 방법
***
아마존 식물 분야 베스트셀러
퍼블리셔스 위클리, 선데이 타임스 추천도서!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꽃을 통해 의사소통을 해왔다. 사랑을 표현하고, 애도하는 마음을 전하거나 사과할 때도 꽃을 내민다. 전쟁을 기념하거나 반대할 때도, 외교사의 한 장면을 장식할 때도 꽃으로 메시지를 전한다. 영국 여성들은 수줍게 보이는 제비꽃을 여성 참정권 운동을 상징하는 꽃으로 내세웠고, 1964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첨예한 냉전 시대의 상징으로 데이지가 등장하기도 했다. 1967년에는 총을 든 군인들 앞에서 국화를 든 청년의 모습이 전 세계적으로 유명해졌다.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에 항의하는 의미였다.
카네이션은 러시아와 포르투갈에서 혁명을 의미하고, 사프란에는 인도의 민족주의가 담겨 있다. 중국의 나이 든 세대는 해바라기를 보면 마오쩌둥을 떠올린다. 수선화나 목화처럼 제국이 영토를 확장하면서 유명해진 꽃도 있고, 삶과 죽음, 시간의 본질을 두고 논할 때도 꽃이 매개로 등장한다.
드라마 《섹스 앤드 더 시티》에 등장한 카네이션의 의미에서 체르노빌 오염물질 제거에 활용한 해바라기까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문학과 교수인 저자는 80장의 아름다운 삽화와 함께 세계 각국의 다양한 역사와 문학, 미술, 종교, 사회, 인간 심리와 경제 속에서, 꽃이 사람들의 마음을 어떻게 움직여왔는지 다루면서 꽃과 관련된 다양한 생각거리를 제공한다.
? 순전히 꽃을 빼앗으려고 일으킨 전쟁이 있다?
? 체르노빌 주위 연못에서는 해바라기로 오염물질의 95%를 제거할 수 있었다?
? 독성이 너무 강해 FDA에서 판매를 금지한 꽃 열매가 있다?
? 영화 《코코》에 나오는 ‘죽은 자의 날’ 행사에 사용된 꽃은?
? 19세기 미국의 경제 활동은 목화를 중심으로 돌아갔다?"
저자소개
"지은이 ∥ 캐시어 바디(Kasia Boddy)
미국 문학과 문화사에 정통한 영문학자로, 일상의 다양한 사물 및 활동이 글쓰기에 어떤 상상력을 제공하는지 탐구하길 좋아한다. 가령, 오늘날은 누구나 스포츠나 식물과 더불어 일상을 살아가지만 문학 작품에서는 이런 소재를 만나기 어렵다. 이런 일상 소재가 문학 작품에 어떻게 반영되고 상상의 원천을 제공하는지 풀어낸다.
저자는 꽃이 그 유약하고 섬세한 이미지와는 달리 전쟁, 외교, 혁명, 투쟁과 곧잘 연결되었고, 각국의 다양한 문학, 미술, 종교, 역사, 신화와 촘촘히 관련되어 있음을 이 책에서 밝힌다. 계절마다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16가지의 꽃으로 사랑과 죽음, 예술과 패션, 종교와 정치, 음식과 영화 등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눈다.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영어와 철학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20세기 후반 미국 단편 소설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2년부터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미국 문학을 가르치고 있다. 『권투: 문화사Boxing:A Cultural History』, 『1950년 이후 미국 단편소설과 제라늄The American Short Story Since 1950, and Geranium』 등의 저서가 있다.
옮긴이 ∥ 이선주
연세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대학원에서 미술사를 공부했다. 조선일보 기자, 조선뉴스프레스 발행 월간지 『톱클래스』 편집장을 지냈다. 현재는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절대 성공하지 못할 거야』, 『혼자 보는 미술관』, 『매일매일 모네처럼』, 『퍼스트맨』, 『엘리먼트』 등이 있다."
목차
"꽃 모으기
봄
1 데이지
2 수선화
3 백합
4 카네이션
여름
5 장미
6 연꽃
7 목화
8 해바라기
가을
9 사프란
10 국화
11 메리골드
12 양귀비
겨울
13 제비꽃
14 제라늄
15 스노드롭
16 아몬드
감사의 글
참고문헌
이미지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