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83가지 새 이야기
- 저자
- 가와카미 가즈토
- 출판사
- 사람과나무사이
- 출판일
- 2020-12-01
- 등록일
- 2021-07-30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70MB
- 공급사
- 웅진OPMS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최고 권위의 조류학자가 들려주는
사람보다 더 사람 같은 83가지 기상천외한 새 이야기!
영리하고 지혜롭지만 때론 인간 못지않게 교활한 새 이야기
사람들은 머리 나쁜 사람을 ‘새대가리’라는 말로 조롱하고 폄하한다. 새는 머리 나쁜 동물의 대명사처럼 인식된다. 과연 그럴까? 그렇지 않다. 새는 영리하고 지혜로우면서도 때론 영악하다 못해 교활하기까지 한 동물이다. 선뜻 믿기 어렵겠지만 사실이다. 이 책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83가지 새 이야기』를 보면 그런 기상천외하고 흥미진진한 사례로 빼곡하다.
예를 들어 까마귀는 종종 전선에 거꾸로 매달려 놀거나 미끄럼틀 타기를 좋아한다. 심지어 스스로 새로운 놀이를 개발해 즐길 줄도 안다. 그뿐만이 아니다. 조류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까마귀는 인간이 만든 ‘신호 체계’를 이해한다고 한다. 실제로 녀석은 딱딱하기로 유명한 가래나무 열매를 교통 신호 체계와 달리는 자동차 바퀴를 이용해 깨뜨린다. 빨간 불이 들어올 때 딱 맞춰 자동차 바퀴가 지나갈 만한 곳에 열매를 두고 자동차가 나타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다. 또 하나 예를 들어보자. 검은댕기해오라기의 특기는 ‘낚시’다. 녀석은 작은 물고기와 곤충 등을 수면에 띄워 미끼를 보고 감쪽같이 속아 자신에게 다가오는 물고기를 손쉽게 잡는다. 나뭇가지나 자기 깃털을 가짜 미끼로 사용하는 녀석도 있다. 또 부리로 수면을 쪼아 곤충이 공중에서 떨어졌을 때처럼 파문을 만들어 다가오는 물고기를 잡고, 날개를 돔 모양으로 펼쳐 그늘을 만든 후 그늘로 모여드는 물고기를 잡기도 한다. 하나만 더 예를 들어보자. 조류세계에도 ‘가사 도우미’가 있다는 사실을 아는가? 자신은 번식하지 않고 다른 부부의 번식을 돕고 새끼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고 영역을 지키는 경비 업무까지 자발적으로 담당하는 만능 도우미 새들로, 오목눈이가 대표적이다. ‘가사 도우미’ 오목눈이는 왜 이런 생활을 선택할까? 첫째 동생이나 자매, 사촌, 조카 등을 소중히 길러 자신에게 가까운 유전자를 남길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가사 도우미로 일하는 부부의 영역을 물려받을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자, 이래도 인간이 조류를 ‘새다가리’라는 말로 폄하할 수 있을까? 도서출판 사람과나무사이가 ‘교과서보다 똑똑한 과학잡학사전’ 시리즈 첫 번째 책으로 출간한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83가지 새 이야기』에는 최고 권위의 조류학자가 들려주는 새의 은밀하고도 흥미진진하며 사람보다 더 사람 같은 기상천외한 이야기로 빼곡하다. 이 책을 읽는 동안 당신은 지금까지 새에 관해 가졌던 편견이 벗겨지고 통념이 깨지는 신선한 ‘지적 충격’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
저자소개
"가와카미 가즈토 (川上和人)
1973년 오사카에서 태어나 도쿄대학 농학부 임학과를 졸업, 같은 대학 농학생명과학연구과 박사과정을 중퇴하였으나 어쨌든 박사는 취득하여 어엿한 농학박사. 현재는 국립연구개발법인 삼림종합연구소 주임연구원으로 오가사와라 제도에서 사는 조류의 보전과 관리를 위해 연구하고 있다. 화산 분출 중인 니시노시마가 조사지역 중 한 군데이며, 심지어 조사지역이 용암으로 인해 녹아 사라지는 등의 희귀한 체험을 끊임없이 겪고 있다. ‘화산의 여신님, 이제 이만하면 됐으니 적당히 좀 해주세요’라고 기도하고 있는, 어쨌든 조류학자다. 독특한 외모나 말투는 도저히 학자 같지 않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 ‘조류학자니까 분명 어려서부터 새를 좋아했겠죠?’라는 질문 역시 자주 듣지만, 어릴 때부터 벌레라면 질색했고, 우연히 대학의 생물 동아리에 들어가기 전까지 ‘새’를 제대로 본 적도 없었다. 치킨 덕후. 현재 66자이므로 무한수에 지지 않도록 앞으로도 정진하고자 한다.
『조류학자, 무모하게도 공룡을 이야기하다』,『아름다운 새, 기묘한 새』,『태초에 섬에 진화가 있으시어』 등의 책으로 이미 눈썰미 밝은 독자들 사이에서는 말도 안 되게 웃기면서 기가 막히게 글을 잘 쓰는 조류학자로 소문이 났으며, 『조류학자라고 새를 다 좋아하는 건 아닙니다만』로 일약 (한 줌밖에 안 되지만) 조류학자계의 스타로 발돋움하였다. "
목차
"책을 시작하며
이 책에 등장하는 새
1장_ 까마귀의 ‘잡동사니 수집’이 지구를 살린다?
1. 참새 뺨의 반점이 클수록 인기 있다고?
2. 비둘기가 목을 까닥거리듯 걷게 된 까닭
3. 공격력을 극대화하고자 방한?방수 능력을 포기한 가마우지
4. 까마귀의 ‘잡동사니 수집’이 지구를 살린다?
5. 참새가 위험천만한 변압기를 둥지로 삼는 이유
6. 참새는 왜 ‘모래 목욕’을 즐길까?
7. 참새·직박구리·동박새·오목눈이의 지혜로운 겨울나기
8. 인간처럼 ‘놀이’를 개발하고 즐길 줄 아는 까마귀
9. ‘조류계의 칭기즈칸’ 물까치
10. 올빼미의 귀여운 고갯짓이 사실은 공격적인 몸짓이라고?
11. 무서운 속도로 나무를 쪼는 딱따구리는 뇌 손상이 두렵지 않을까?
12.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여 비행 효율을 극대화하는 직박구리
13. 십자매가 최고의 소통 달인인 이유
14. 조류계 ‘무드셀라’는?
15. 백할미새는 왜 ‘날기’보다 ‘걷기’를 더 좋아할까?
16. 힘센 매가 약한 까마귀에게 쫓겨나는 이유
17. ‘개미’와 ‘연기’를 도구로 제 몸의 기생충을 제거하는 까마귀
18. 참새는 왜 쉴 새 없이 짹짹 지저귈까?
19. 휘파람새류를 구분할 때는 ‘생김새’보다는 ‘울음소리’로
▣ 새로 배우는 새 이야기 1
공룡의 후예, 새의 놀라운 신체 구조
2장_ 참새는 왜 씨앗이 아닌 모래를 먹을까?
20. ‘조류계의 드라큘라’ 큰부리까마귀
21. 동박새의 혀가 솔처럼 갈라진 이유
22. 까마귀는 어떻게 크고 실한 호두를 귀신같이 골라낼까?
23. 해바라기씨에 끝없이 집착하는 방울새
24. 작은 물고기를 미끼로 큰 물고기를 잡는 최고 낚시꾼 검은댕기해오라기
25. 동박새는 왜 히비스커스 꽃받침에 구멍을 뚫을까?
26. 물 위에서 몸을 떨며 식사하는 넓적부리오리
27. 비둘기와 참새가 유독 자주 물을 마시는 이유
28. 참새는 왜 씨앗이 아닌 모래를 먹을까?
29. 과일을 좋아하는 직박구리의 뱃속이 편할 날이 없는 까닭
30. 때까치는 왜 잡은 먹이를 뾰족한 곳에 꿰어 널어둘까?
31. 프랑스인처럼 달팽이로 칼슘을 보충하는 십자매
32. 십자매 스승에게 먹이 먹는 기술을 배우는 참새 제자
33. 온갖 먹이를 땅에 묻어두는 습성을 가진 십자매류
34. 능력 있는 매의 차이나는 클래스, 발톱으로 먹이 움켜쥐기
35. 조류계 최강의 푸드파이터, 목도리앵무
▣ 새로 배우는 새 이야기 2
1만 킬로미터를 여행하고 8천 미터 산맥을 가뿐히 넘는 놀라운 체력의 철새들
3장_ 휘파람새는 노래를 배울 스승이 필요하다는데?
36. 육아를 수컷에게 맡기고 다른 수컷과 밀월을 즐기는 호사도요 암컷
37. 휘파람새는 노래를 배울 스승이 필요하다는데?
38. 암컷의 마음을 훔치기 위해 다른 새의 울음소리를 흉내 내는 때까치
39. 오리는 다른 종과도 거침없이 사랑에 빠진다고?
40. 공중에서 빙글빙글 돌며 구애 작전을 펼치는 멧비둘기
41. 딱따구리가 ‘숲속의 가정파괴범(?)’으로 불리는 까닭
42. 잡은 물고기를 정성껏 손질해 암컷에게 바치며 구애하는 물총새 수컷
43. 원앙새 수컷은 조류계 최고의 바람둥이라는데?
▣ 새로 배우는 새 이야기 3
여름새의 육아 과정 살짝 엿보기
4장_ 오목눈이가 조류계 최고 ‘건축 장인’으로 불리는 이유
44. 뻐꾸기가 매 울음소리를 흉내 내는 이유
45. 제비는 왜 인가에 둥지 짓기를 좋아할까?
46. 뻐꾸기 입속이 샛노란 이유는 양부모 새의 육아 본능을 자극하기 위해서라고?
47. 참새가 새끼 시절 ‘육식’을 하다가 다 자란 뒤 ‘채식’을 하는 까닭
48. 까마귀는 왜 철사 옷걸이를 건축 재료로 사용할까?
49. 오목눈이가 조류계 최고의 ‘건축 장인’으로 불리는 이유
50. ‘날림공사 건축가’라는 오명이 억울한 멧비둘기
51. 참새가 무서운 참매 둥지 아래에 둥지를 짓는 이유
52. 자기 알을 몰래 다른 찌르레기 둥지에 놓아두는 무주택자 찌르레기
53. 검둥수리의 기막힌 생존 전략, ‘형제살인’
54. 다른 새를 가사도우미로 고용하는 새, 오목눈이
55. 젊은 참새는 왜 큰 무리를 이루어 다닐까?
56. 흰뺨검둥오리가 한꺼번에 많은 알을 낳는 이유
57. 갈매기 새끼는 왜 유독 ‘붉은 반점’에 강하게 반응할까?
58. 비둘기가 일 년 내내 번식이 가능한 ‘출산왕’이 될 수 있는 비결
59. 논병아리가 새끼를 과잉보호한다고?
▣ 새로 배우는 새 이야기 4
결핍의 계절 겨울을 지혜롭게 이겨내는 기특한 새들
5장_ 부엉이 귀는 소리를 듣기 위한 기관이 아니라고?
60. 시속 300킬로미터 속도로 작은 새를 공격하는 무시무시한 포식자 송골매
61. 멧새의 꽁지깃이 흰색인 이유
62. 부엉이의 귀는 소리를 듣기 위한 기관이 아니라고?
63. 조류계 최고의 ‘숏다리’ 물총새
64. 수영 천재 논병아리가 뒤뚱거리며 걷는 까닭
65. GPS도 없는 제비는 어떻게 지난해와 정확히 같은 장소를 찾아올까?
66. 비둘기의 ‘분면깃’을 실제로 관찰하고 싶다면?
67. 새는 의외로 밤눈이 어둡지 않다는데?
68. 몸을 길게 늘려 갈대로 위장하는 능력을 가진 덤불해오라기
69. 큰부리까마귀의 울음소리는 사람처럼 제각각 다르다고?
70. 왜가리의 깃털은 왜 때가 안 타고 늘 새하얄까?
71. 새가 사람보다 훨씬 다채로운 빛깔로 세상을 볼 수 있는 비결
72. 10도 이하의 체온으로 석 달간 꼼짝도 하지 않고 겨울잠을 자는 쏙독새
▣ 새로 배우는 새 이야기
새와 친해지고 제대로 관찰하는 방법
5장_ 곤충에게 잡아먹힌 새가 있다는데, 사실일까?
73. 극동 지방 고유의 새 직박구리의 DNA 분석 결과는?
74. 하와이까마귀와 마리아나까마귀는 왜 멸종했을까?
75. 찌르레기는 도시 생활을 좋아한다?
76. 오스트레일리아 화재의 방화범은 맹금류라는데?
77. 매는 독수리가 아닌 앵무새나 참새의 친척이라고?
78. 십자매들의 성격은 제각각이다?
79. 수천 마리가 군무를 추는 찌르레기는 어떻게 서로 충돌하지 않을까?
80. 바닷새의 배설물이 귀중한 자원으로 활용된다?
81. 곤충에게 잡아먹힌 새가 있다는데, 사실일까?
82. 꿩은 모모타로 설화 덕에 일본의 국조가 되었다는데?
83. 참매와 알락풍뎅이의 기묘한 동거
참고문헌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