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비판'은 '이성의 필수적인 활동'이다. 특정한 노선이나 편견에 치우치지 않고 '타협없이 사고하는 과정'이다. 비판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부문에 학제적으로, 다학문적으로 연관되는 매우 광범위하고 다양한 부문을 포괄하고 있다.
비판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1970년대에 시작되었다. 그로부터 20여 년이 경과한 오늘날, 커뮤니케이션을 에워싼 환경은 크나큰 변화가 일고 있다. 하지만 매스미디어, 정치 권력, 수용자 구성원들의 상관관계에서 볼 때 인터넷 서비스 업체들을 포함하여 미디어의 소유·통제·경영 관리, 자본과 편집 제작, 정치 권력과 언론의 관계 등 근본 체제의 틀을 뒤엎는 변화는 없다.
기든스는 카스텔스의 저술, 《경제, 사회, 문화》를 평가하면서, 베버와 마르크스에까지 비견할 만하다고 했다. 카스텔스는 커뮤니케이션 기술 혁명이 가져온 잠재적 혜택을 구가 찬미하면서도 다른 한편에서 ''정보 혁명의 엄청난 생산력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경제에서 인간 참상의 블랙홀들(black holes)이 더욱 심화''돼 가는 양상을 지적하고, 정보화 시대에 대한 올바른 '비판적 교육'을 제청하고 있다.
과거 어느때보다도 커뮤니케이션 연구자들이 '비판 커뮤니케이션'의 시각에서 연구해야 할 필요와 당위를 더욱 북돋는 상황이다. 이런 관점에서 필자와 공동 집필자들은 '비판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필요와 당위성이 감쇄하기는 고사하고 오히려 더 확고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본서를 저술하게 됐다."
저자소개
"방정배 : 독일 뮌헨대학교 인문학부 잘츠부르크대학교 인문학부를 졸업하고 프부리찌스틱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프랑크푸르트 대학, 보쿰대학교 객원교수를 역임했다. 현재는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장과 성균관대학교 언론대학원장을 맡고 있으며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있다. 주요저서로 「자주적 말길이론」(1985), 「여론과 정치설득」(1987), 「한국언론개혁론」(1992), 「커뮤니케이션 : 변혁·사상·이론」(1995) 등이 있다.
정재철 : 경희대학교 영어교육학과 졸업. 퀸즈대학교 석사.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박사. 현재 동신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저서 「문화연구 이론」(편저) 「정치커뮤니케이션 원론」(공저) 「애인」(공저) 「한국 언론내용분석론」(공저) 「언론과 현대사회」(공저) 「텔레비전 제작론」(공역)
김지운 : 서울대 문리대 정치학과 졸업
미국 뉴욕 콜롬비아 대학교 신문대학원 수료
동대학교 풀브라이트 교환교수
서독 보쿰대 방문연구교수
중앙일보 논설위원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현재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명예교수
<지식연보>
{신문윤리위원회의 비교연구}
{비판 커뮤니케이션 이론}(공저)
{국제정보유통과 문화지배}(편저)
{매스미디어 정치경제학}(역서)
{커뮤니케이션 정치경제학: 성찰과 새출발}(역서)
Elite Media amidst Mass Culture: A Critical Look at Communication in Korea(저서)"
목차
"머리말
서장. 비판, 비판 이론, 비판 커뮤니케이션
1. 비판과 비판 이론
2. 비판 이론과 비판 커뮤니케이션
3. 비판 커뮤니케이션 연구:이 책의 구성
참고 문헌
제2장. 마르크스주의와 비판적 언론 이론
1. 마르크스ㆍ레닌 언론 모델 연구의 필요성
2. 비판적 매스 커뮤니케이션 연구와 마르크스주의
3. 마르크스주의의 변동과 수정
3-1. 현대 자본주의의 변질
3-2. 언론과 상부구조 조작 가능성
3-3. 광고ㆍ설득과 마르크스주의의 좌절
4.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데올로기와 매스 미디어
4-1. 이데올로기로서의 마르크스레닌주의
4-2. 지배 이데올로기와 언론 유형
4-3. 인민 민주주의 지배 모델의 특성
5. 마르크스레닌주의의 본질과 언론의 위상
5-1.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체계화
5-2. 전위당 이론과 언론
5-3. 공산당과 이데올로기
5-4. 당의 조직 원리와 언론
5-5. 당의 역할과 과학적 공산주의
6. 마르크스레닌주의 언론 이론
6-1. 마르크스와 레닌의 언론관의 차별성
6-2. 기관지 언론의 이론적 당위성과 언론관계
6-3. 레닌의 언론관과 소비에티즘
7. 마르크스레닌주의에서의 언론 자유와 그 내용
8. 사회주의 저널리즘의 기능과 민주적 성격
9. 개혁 사회주의 언론 패러다임의 형성
9-1. 페레스트로이카와 마르크스레닌주의 언론 변동
9-2. 언론 패러다임의 변동
10. 마르크스주의의 미래
참고 문헌
제3장.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비판 이론과
문화 산업론
1.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유산과 학맥
2. 프랑크푸르트 사회연구소와 프랑크푸르트 학파
2-1. 프랑크푸르트 (대학) 사회연구소 창설
2-2. 사회연구소와 ≪사회연구≫
2-3.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형성
3.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주요 인물과 저술41)
3-1. 호르크하이머(1895~1973)
3-2. 아도르노(1903~1969)
3-3. 마르쿠제(1898~1979)
3-4. 하버마스(1929~ )
4. 프랑크푸르트 학파와 비판 이론
4-1. 마르크스주의와 비판 이론
4-2. 비판 이론
5.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문화 산업론
6. 비판 이론과 하버마스
6-1. 비판적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특성
6-2. 하버마스와 비판 커뮤니케이션 이론
6-3. 마르크스주의를 넘어서
6-4. 커뮤니케이션 이론패러다임 구성
7. 하버마스의 공개장과 커뮤니케이션론
8. 비판 이론의 영향과 평가
8-1. 영향과 평가
8-2. 비판 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비판 이론>의 위치
참고 문헌
제4장. 비판 커뮤니케이션:정치 경제학적 시각
1. 고전 정치 경제학에서 신자유주의로
2. 정치 경제학의 네 가지 특장점
2-1. 총체적
2-2. 역사적 관점
2-3. 자본주의(기업)와 공익적 개입 간의 균형
2-4. 정의ㆍ평등ㆍ공동선을 위한 도덕성
3. (주류) 경제학과 정치 경제학
4. 커뮤니케이션 정치 경제학과 연구자들
4-1. 주요 연구자들
4-2. 연구의 동인과 대상
5. 정치 경제학과 문화 연구
5-1. 텍스트의 다의성, 대중성,
그리고 능동적 수용자관(觀)
5-2. 정치 경제학과 문화 연구:두 <캠프>의 공방전
6. 사이버 커뮤니케이션의 정치 경제학
6-1. 기존 대형 미디어의 소유 집중ㆍ글로벌화
6-2. 인터넷:참여 민주주의를 위한 공론장(?)
6-3. 희망ㆍ낙관론과 비관론
참고 문헌
제5장. 문화 연구
1. 문화 연구란 무엇인가
2. 문화 연구는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초기 영국의 문화 연구-문화주의(culturalism)의
형성
2-1. 아널드와 리비스의 문화 개념
2-2. 호가트와 톰슨의 노동자 계급 문화
2-3. 윌리엄스와 문화론
3. 알튀세르와 문화 연구
3-1. 라캉과 언어
3-2. 알튀세르와 이데올로기
4. 홀과 문화 연구
4-1. 민속지학적 수용자 연구
(Ethnographic Audience Study)
4-2. 홀의 접합 이론(Articulation Theory)
5. 포스트모던 문화 연구(Postmodern Cultural Studies)
6. 문화 연구 돌아보기:과제와 전망
참고 문헌
제6장. 구조주의
1. 구조주의란 무엇인가
2. 구조주의의 언어적 기원:소쉬르, 퍼스, 야콥슨
2-1. 소쉬르의 기호학 이론
2-2. 퍼스
2-3. 야콥슨과 구조주의 틀의 확대
3. 레비스트로스와 신화 분석
4. 바르트의 신화론
4-1. 기호의 의미 작용과 신화
5. 구조주의 연구 방법의 한계와 전망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