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소개
"최양수 :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
보울링 그린 주립대학교(Bowling Green State University) 방송영화학 석사
아이오아대학교(University of Iowa) Communication 박사
위스컨신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산호세) 방송영화학과 교수
현재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저서와 논문
『텔레비전 경제학』(1996,역서)
『한국언론산업 구조론』(1995, 공저)
''통합방송법과 방송편성규제 정책''(1999)
''방송문화지표개발에 관한 연구''(1997)
''시청률 결정요인으로서의 인접효과에 관한 연구''(1992)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기대효용 모델''(1991) 외 다수
한진만 :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으며,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건국대학교 교수, 미국 인디애나대학교 객원 연구원을 거쳐 현재 강원대학교 교수로 재직중이다.「방송제작기술」(공저),「한국 텔레비전 방송 연구」「21세기에 대비한 방송통신정책」(공저),「지방자치와 선거보도」「지역사회와 언론」(공저)가 있다.
강대인 : 감리교신학대 졸업, 서울대 신문대학원 졸업, Indian Institute of Mass Communication 졸업, 서울대 대학원 신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고려대 대학원 언론학 박사, 극동방송 PD 기획조사실 차장, Jawaharal Nehru University Instructor, CBS 편성부장/기획심의실장/논설위원, 서울대 신문연구소 특별연구원, 호서대 전임강사, 계명대 신문방송학과 조교수/부교수/교수, 계명대 사회과학연구소장, 계명대 사회과학대학장, 계명대 교수협의회 의장, (사)한국언론학회 언론과사회연구회 회장, (사)한국방송학회 회장, MacBride Round Table on Communication, International Steering Committee Member, 대통령자문 방송개혁위원회 부위원장 겸 실행위원장, 방송위원회 부위원장, 방송위원회 위원장, 국무총리표창(1980), 문화포장(1997), 현재 건국대 교수, 언론홍보대학원장
송재극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졸업. KBS 연수원 교수, 기술위원. 한국데이터통신 기술위원. 한국방송개발원 연구위원. 현재 DSM(Dacom Satellite Multimedia System) 상임고문. 한국방송공학회 부회장. 충남산업대학교 방송산업학과 교수.
조항제 : 서울대학교 신문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신문학과 석사, 박사(언론학). 한국방송개발원 정책연구실 책임연구원. 현재 부산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목차
"머리말(유재천, 한국방송학회 회장)
제1부 한국방송 70년의 회고와 반성
제1주제 한국방송 70년의 정치ㆍ경제적 특성(발제:강대인, 계명대 교수)
1. 들어가는 말:한국방송 70년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2. 한국방송과 정치권력
1) 일제하의 경성방송(JODK)의 성격
2) 미군정과 이승만 정권의 방송정책
3) 박정희 정권의 방송정책
4) 전두환, 노태우 정권의 방송정책
3. 한국방송과 자본
4. 한국방송의 부차적 영향 요인
1) 방송의 상업주의, 시청률주의
2) 세계 자본 등의 영향
5. 맺는 말
참고문헌
주제 토론:김학천(사회, 건국대 교수), 윤영철(연세대 교수), 이효성(성균관대 교수)
제2주제 한국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역사적 고찰(1945∼1990)─뉴스와 드라마를 중심으로(발제:조항제, 부산대 교수)
1. 서론:서술의 시각
2. 뉴스
1) 미군정기/1950년대
2) 1960년대:보도프로그램의 정착
3) 1970년대:텔레비전 보도프로그램의 정착
4) 1980년대:'공적' 기구화와 양적 확장
3. 텔레비전 드라마
1) 전사:라디오 드라마
2) 1960년대:텔레비전 드라마의 정착
3) 1970년대
4) 1980년대
4. 결론
참고문헌
주제 토론:김학천(사회, 건국대 교수), 김훈순(이화여대 교수), 오명환(MBC 외주제작국장)
제2부 한국방송의 현실진단과 미래전망
제3주제 글로벌 시대 한국방송의 국제적 위상과 역할(발제:최양수, 연세대 교수)
1. 서론:문제제기와 연구목적
2. 방송의 국제화 현황
1) 방송산업의 구조변동
2) 시장구조의 변화와 초국적 미디어 기업
3) 방송 국제화의 양상:문화적 현상
3. 전망:한국방송의 국제적 위상과 전망
1) 한국방송산업의 구조변동
2) 한국방송의 국제화 전망:행위와 성과
참고문헌
주제 토론:오택섭(사회, 고려대 교수), 박명진(서울대 교수), 김상수(KBS 국제방송국장)
제4주제 디지털 시대를 맞이하는 한국방송의 기술개발 과제(발제:송재극, DSM 상임고문)
1. 기술의 발전과 우리 나라의 방송
2. 방송환경의 변화와 디지털 방송
3. 디지털 제작과 디지털 전송
1) 디지털방송의 특성
2) 디지털방송신호의 제작
3) 디지털방송신호의 전송
4. 디지털방송의 기반 기술
5. 디지털 시대의 방송기술 개발과제
1) 프로그램 제작기술의 개발
2) 주파수 환경 정비의 검토
3) 케이블TV와 초고속 정보통신망과의 연계
4) 데이터방송의 활성화
5) 산업 파급효과의 유도
6) 남북통일에의 대비
참고문헌
주제 토론:오택섭(사회, 고려대 교수), 최겸수(SBS 기술국 이사), 이상덕(통신개발연구원 연구실장)
제5주제 다매체 다채널 시대의 방송서비스와 수용자 복지─프로그램 수급과 편성(발제:한진만, 강원대 교수)
1. 머리말
2. 수용자 특성
3. 수용자 복지의 개념
4. 방송서비스와 수용자 복지에 관한 논의
1) 편성
2) 프로그램 수급
5. 결어
참고문헌
주제 토론:오택섭(사회, 고려대 교수), 전환성(청주대 교수), 김헌주(광운대 교수)
종합토론 한국방송: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필진 약력
사회:이경자(경희대 교수)
토론:정진석(한국외대 교수), 홍기선(고려대 교수), 인운섭(한서대 교수), 이형모(한국언론노동조합연맹위원장), 장한성(DSM 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