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수용자는 단순히 미디어 메시지를 받아들이는 존재인가? 아니면 다양한 동기를 가지고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를 소비함으로써 자신의 욕구를 충족하려고 하는 능동적인 존재인가?
미디어 환경이 눈부시게 변하고, 미디어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지만, 실제 국내 연구에서 수용자 분야는 홀대를 받아왔다. 이 책은 수용자를 매스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주인으로 일으켜 가야 한다는 명제에서 출발한 수용자에 대한 연구 모음이다.
수용자 연구의 관점에 대해 전통 입장에서 서로 다른 시각에서 논의하고, 수용자 연구 방법에 관해, 그리고 현재 수용자 연구에서 부각되고 있는 쟁점에 관해 서술한다."
저자소개
"
정재철 : 경희대학교 영어교육학과 졸업. 퀸즈대학교 석사.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박사. 현재 동신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저서 「문화연구 이론」(편저) 「정치커뮤니케이션 원론」(공저) 「애인」(공저) 「한국 언론내용분석론」(공저) 「언론과 현대사회」(공저) 「텔레비전 제작론」(공역)
조성호 :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오하이오대학교 신문방송학 석사 과정을 마쳤다. 미국 뉴욕주립대학교 신문방송학 박사, 한국언론학회 이사를 역임했다. 현재 한국언론정보학회 이사, 시청률조사 검증협희회 위원, 경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주창윤 :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 한양대학교 석사. 영국 Glasgow대학교 석사, 박사. 현재 한양대학교 강사
논문 ''The Interpretative Positions of the Audience and the Invitations of Television Drama'' ''텔레비전 드라마 수용자의 해석적 위치'' ''반복과 차이: 텔레비전과 대중미학'' ''텔레비전 드라마의 경험적 수용미학을 위하여'' 등
이호준 :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 한양대학교 석사, 박사과정 수료. 현재 방송위원회 근무.
논문 ''텔레비전 드라마의 즐거움 유형과 수용에 관한 연구'' ''라디오 청취자들의 청취행태와 만족도''(공저)
전경란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디지털 내러티브에 관한 연구 : 상호작용성과 서사성의 충돌과 타협>으로 언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MBC 전문연구위원으로 있으며, 공저로「디지털 수용자」「디지털 스토리텔링」등이 있다.
박창희 :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 웨스턴 일리노이대학교 석사.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박사. 현재 동의대학교 교수
논문 ''TV에 나타난 성(gender)의 이데올로기적 표상'' ''국가발전과정에서의 텔레노빌라의 역할'' 등
안동근 :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 한양대학교 석사. 유타대학교 박사. 현재 정보통신윤리위원회 선임연구원(조사연구팀장)
논문 ''정보사회에서 텔레비전 이용자에 관한 새로운 이론적 틀'' ''Living With Music Television: Adolescents' Music Video Use'' ''Freedom of Expression and Regulation of Grobal Information'' ''To Be or Not To Be: An Exploration of E-Prime, Copula Deletion and Flaming in Electronic Mail'' 등
이은미 :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 성균관대학교 석사, 박사. 현재 성균관대학교 강사, 방송위원회 연구1팀장.
논문 ''수용자 방송평가 연구'' ''텔레비전 시청이 가족구성원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대수선형 모형을 중심으로'' ''케이블 텔레비전의 뉴스와 공중파 텔레비전 뉴스의 비교연구'' 등
김정기 :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행정학과(1963) 및 행정대학원을 졸업(행정학 석사, 1966)했다. 미국 콜럼비아 대학 정치학과 대학원을 졸업(1992)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신문방송학과 교수(1978~현재)로 재직 중이다. 한국외국어대 서울캠퍼스 부총장(1998. 9~1999. 9), 한국언론학회 회장(1996~1997), 방송위원회 위원장(1999. 9~2002. 1), 민주화운동 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심의위원회 위원(2000. 8~2002. 8)으로 활동했다.
지은 책으로 <분단국가의 언론정책>, <우리 언론의 숨겨진 신화 깨기>, <한국언론의 병리> 외 다수가 있다.
박동숙 :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졸업. 오하이오주립대학교 석사. 텍사스대학교 박사. 미국 와일리 대학 및 워시번 대학 조교수, 한국언론연구원 상임연구위원 역임.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부교수.
논문 ''문화론적 수용자론'' ''멀티미디어와 수용자'' ''외국 방송물 유입의 문화적 영향에 대한 논의의 재고'' ''상징적 차원의 문화공간 구축: ''문화간 결혼''한 여성 수용자의 한국비디오 보기'' 등"
목차
"머리말
제1부. 수용자연구의 관점
제1장. 수용자상의 변화:미디어 효과연구의 관점
1. 효과연구 개관
2. 초기 대효과론-마술 탄환이론
1) 배경
2) 탄환이론의 내용
3) 탄환이론의 수용자
3. 제한효과모형-태도변형론과 2단계 유통설
1) 배경
2) 제한효과이론
3) 제한효과와 수용자
4. 중효과론-의제설정효과
1) 배경
2) 의제설정효과
3) 의제설정효과와 수용자
5. 다시 강효과로:문화계발효과 이론
1) 배경
2) 문화계발효과
3) 문화계발효과와 수용자
6. 맺음말
참고문헌
제2장. 수용자의 반란에 대한 인식:이용과 충족 연구의 관점
1. 이용과 충족 연구의 대두
2. 이용과 충족 연구의 패러다임과 연구 목적
3. 초기의 이용과 충족 연구
4. 텔레비전 이용동기 연구
5. 텔레비전 시청행태에 관한 연구
6. 수용자의 능동적 활동성에 대한 연구
7. 미디어 이용과 효과연구
8. 이용과 충족 연구의 과제
참고문헌
제3장. 수용자 해독의 힘:문화연구의 관점
1. 수용자상의 변화
2. 부호화와 해독
3. 수용자의 사회성
4. 수용자의 자율성과 저항성 (문화영역의 자율권)
5. 맺음말:무비판적 대중주의?
참고문헌
제4장. 텍스트와 수용자의 상호작용:수용 연구의 관점
1. '저자와 작품'으로부터 '텍스트와 독자'로
2. 수용연구와 문화연구
3. 닫힌 텍스트 혹은 열린 텍스트?
4. 텍스트의 코드들:해독의 매개체
1) 장르 코드
2) 문체의 코드
3) 개별 텍스트의 코드
4) 상호텍스트적 코드
5) 이데올로기적 코드
5. 해독의 과정:예상과 회상
6. 수용자의 기대지평
7. 맺음말: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참고문헌
제2부. 수용자 연구방법론
제5장. 수용자 연구의 양적 접근방법
1. 양적 수용자 연구 전통
2. 양적 연구의 정의
3. 양적 연구의 철학적 토대
1) 실증주의적 과학관
2) 행동주의
4. 양적 연구의 특성
1) 양적 연구에서의 이론
2) 개념과 개념측정
3) 가설 검증
4) 인과성
5) 일반화
6) 반복가능성
5. 맺는 말
참고문헌
제6장. 수용자 연구의 질적 접근방법
1. 들어가는 말
2. 질적 접근방법의 기원과 발달
3. 질적 접근방법의 특성
4. 수용자 연구의 질적 접근방법
5. 나가는 말
참고문헌
제7장. 수용자 조사의 현황과 활용
1. 문제의 제기
2. 수용자 조사방법
1) 양적 조사방법
2) 직적 조사방법
3. 시청률조사 자료의 활용방안, 쟁점 및 미래의 시청률조사
1) 시청률자료의 활용
2) 시청률조사에 대한 쟁점
3) 미래의 시청률조사
참고문헌
제3부. 수용자 연구의 쟁점과 과제
제8장. 팬 (fan) 은 누구인가?-대중문화의 주체적 수용자
1. 수용자에 대한 다양한 명칭
2. 팬이라는 단어의 어원은? 그리고 그 후의 부정적 이미지의 양상은?
3. 왜 팬들은 이렇게 부정적으로 인식되어 왔는가?
4. 문화적 위계질서 (cultural hierarchy) 와 문화취향 (cultural taste)
5. 팬 이해하기
1) 팬들의 특별한 수용양식
2) 특정한 방식의 읽기와 비판
3) 조직적 권력 행사자로서의 팬
4) 생산자로서의 팬
5) 대안적 사회공동체로서의 팬집단
6. 정리하기-팬들은 무엇을 얻는가?:팬덤의 문화적 의미
참고문헌
제9장. 페미니즘과 수용자
1. 텍스트에서의 여성
1) 스테레오타입과 사회화
2) 포르노그라피
3) 이데올로기
4) '텍스트에서의 여성' 연구의 의의와 한계
2. 여성의 매스미디어 수용
1) 여성의 일상생활과 미디어 사용
2) 가정ㆍ가족과 여성의 매스미디어 이용
3) 소프오페라와 여성
4) '여성의 매스미디어 수용' 연구의 의의와 한계
3. 맺음말
참고문헌
제10장. 포스트모던 주체로서의 수용자-포스트구조주의적 시각에서
1. 들어가는 말
2. 근대의 주체개념과 수용자 연구
3. 포스트모던 주체개념과 수용자 연구
1) 언어 패러다임에서의 수용자 주체
2) 권력 패러다임에서의 수용자 주체
4. 새로운 가능성을 향하여:사이버스페이스와 커뮤니케이션 주체
5. 결론
참고문헌
제11장. 인터넷 시대의 수용자-능동성 개념을 뛰어넘어
1. 인터넷은 기술이 아니라 환경
2. 인터넷의 특성과 온라인 저널리즘
3. 전통적인 수용자
4.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이용자
1)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인터넷 이용자가 적극적인 까닭
2) 인터넷 이용자 적극성의 사회적 순기능
3) 인터넷 이용자 적극성의 사회적 역기능
4) 인터넷 이용자의 행위규제
5. 새 패러다임을 찾아서
참고문헌
제12장. 국내의 수용자 연구 동향:연구전통과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1.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동향분석의 유용성
3) 기존연구 검토
2. 연구방법
1) 분석유목 선정 및 연구절차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1) 학술지벌, 연구시기별 논문편수
2) 연구전통벌, 연구시기별 논문편수
3) 연구방법벌, 연구시기별 논문편수
4. 맺음말
1) 요약
2) 연구의 제한점
3)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국내의 수용자 연구 논문목록 (1960~1998년 여름)"